Sequence Data Type Range
Range # 범위를 나타내주는 데이터 타입(연속형 자료구조, 의미상 데이터 표현하는 방식(많은 데이터 공간 차지하지않음-작은 메모리 구조)
a = range(1,10,1)
# range는 시작과 끝과 증감 내용이 있어야함 1부터 9까지 1씩 증가하는 range
# [1,2,3,4,5,6,7,8,9] 리스트는 메모리 공간을 요소 하나하나 사용하여 메모리 공간이 많이 필요해요
#Range의 장점은 다른점은 작은 메모리공간으로 큰 데이터들을 표현함(연속적인 자료구조)
print(a) # range(1, 10)
a = range(10) # 초기값과 증감이 빠진 경우 (초기값은 0, 증감은 1)
print(a)
print(a[1]) indexing 은 위치를 알아내는거 range는 시퀀스데이터 타입 # 1
print(a[:3]) #slicing영역중에 일부분 띄어와라는 의미로 결과값이 원본 데이터 타입과 동일하기때문애(원본이 레인지)# range(0, 3) 으로 표현됨
a = range(3, 100, 10) # 3부터 100까지 10씩 증가
print(a[1]) #13
#추가적인 연산자로 in 이 있어요
# 특정 요소가 연속형 자료형 안에 포함이 되는지 되지 않는지를 판별해요
print(7 in range(10)) #True (논리값)
# 0~9까지 1씩 증가하는 범위값 안에 7이 포함돼 있는지 물어보는 거에요.
print(range(1, 20, 3)[-1]) #19
1 4 7 10 ...19 (20마지막요소를 포함안됨)
마지막 요소 알고 싶을때 print(range(1, 20, 3)[-1]) 로 표현 #19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