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MALL

구조적 프로그래밍2

0702 절차적 프로그래밍, 구조적 프로그래밍, 함수 지향적 프로그래밍 절차적 프로그래밍 대표적인 절차적 언어, 함수적 언어 : c언어 내가 해결해야 하는 큰 문제를 작은 기능 단위로 세분화 시켜요.(더 이상 쪼갤 수 없을 때까지 - 단위 기능) 하나의 기능을 다시 세부 기능으로 나눠요. 그러다 보면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단위 기능이 도출되는데, 이를 우리가 배운 함수(function) 형태로 구현해요. 탑 다운 방식, divide and conquer 등으로 표현해요 장점 : 프로그램의 분석과 설계가 쉬워요. → 코드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을 완성해요 프로그램의 구현 시간이 짧아져요. → 비용이 절감돼요 단점 : 프로그램을 수정하기가 쉽지 않아요. 재활용성이 떨어져요.(그 기능에 딱 맞춰 프로그래밍 했기 때문에 다른 곳에 응용하기가 쉽지 않아요.) → 유지 보수성이 떨어져요.. 2021. 7. 2.
0701 함수(function) 함수(function), 객체지향(object oriented) 함수(function) 1. 여러 개의 코드를 단위 코드로 묶어 노은 코드의 집합 2.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코드 집합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놓은 것 a = [3, 7,2,6,10,0] a.sort( ) #여기 sort 가 함수!!(인자가 없어서 인자를 안 받아요) print(a) # [0, 2, 3, 6, 7, 10] #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호출(call) #함수를 호출하면 원본이 변하는 경우가 있어요 #함수를 호출하면 원본은 변화하지 않고 함수가 적용된 결과가 만들어져요(리턴) #결과가 리턴돼요! a = [1, 2, 3] a.append(4) #괄호 안에 있는 것을 인자라고 불러요( 인자를 넘겨주고 함수에 전달해요) print(resul.. 2021. 7. 1.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