함수(function), 객체지향(object oriented)
함수(function)
1. 여러 개의 코드를 단위 코드로 묶어 노은 코드의 집합
2.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코드 집합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놓은 것
a = [3, 7,2,6,10,0]
a.sort( ) #여기 sort 가 함수!!(인자가 없어서 인자를 안 받아요)
print(a)
# [0, 2, 3, 6, 7, 10]
#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호출(call)
#함수를 호출하면 원본이 변하는 경우가 있어요
#함수를 호출하면 원본은 변화하지 않고 함수가 적용된 결과가 만들어져요(리턴)
#결과가 리턴돼요!
a = [1, 2, 3]
a.append(4) #괄호 안에 있는 것을 인자라고 불러요( 인자를 넘겨주고 함수에 전달해요)
print(result)
# None 리턴되는 게 없으면 원본이 변해요
print(a)
[1, 2, 3, 4]
예전에는 함수 기반의 언어가 많았어요.. 대표적으로 c 언어(절차적언어)
내가 구현해야 하는 내용을 기능으로 세분화
ex)
은행 프로그램을 만들어요!!
-예금 기능
-무통장 입금
-자행이체
-일반이체 → 함수 형태로 코드 구현
-예약이체
-타행이체
-대출 기능
-보험 기능
-외환 기능
구조적 프로그래밍,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, Top down 방식 프로그래밍,
divide and Conquer 등으로 불려요!!!
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
가장 큰 장점
: 분석과 설계가 비교적 간단해요
→ 프로그램 작성기간이 짧아져요!!
→ 인력과 돈이 작게 들어요!
단점
: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힘들어요!(추가,삭제)
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많이 필요한 세상이 되었어요!
그래서 나온게 객체지향 프로그램이에요!!!
파이썬은 함수적 절차적, 객체지향프로그램 다 가지고 있어요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701 1급 함수 first-classes function (0) | 2021.07.01 |
---|---|
0701 python의 함수적 특징 (0) | 2021.07.01 |
0701 while (0) | 2021.07.01 |
0701 python control statement(제어문) 정리 (0) | 2021.07.01 |
0701 python built- in data type 정리 (0) | 2021.07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