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ython

0629 Numeric(숫자형) 과 Sequence(자료형)

by 대금부는개발자 2021. 6. 29.
SMALL

 

1. Numeric(숫자형)

 

정수(int), 실수(float), 복소수(complex)로 표현되고 복소수 사용할 일이 잘 없다고 합니다.

 

a= 123 #정수(int)

b= 3.141592 #실수(float)

C=3, 14E2 #지수 표현도 실수(float)로 할 수 있어요

 

 

type( ) : 해당 데이터가 어떤 class의 instance 인지를 알려주는 함수

 

 

print (type(a)) #<class 'int'>

print (type(b)) #<class 'float'>

 

 

result = 3 / 4

 

print(result) # 0.75

 

# 깨알 팁 : 파이썬 말고 다른 언어는 피연산자 연산자 피연산자 = 결과가 같아야 한다.

ex) 정수 연산 정수 = 정수 가 되어야 한다.

하지만 파이썬은 상관없이 사람이 연산하는 방식으로 계산된다.

 

result = 3 ** 4 #지수 표현 3의 4승

print(result) #81

 

result = 10 % 3 # 나머지를 말하는 연산자

print(result) #1

result = 10 // 3 #나누기를 하고 남은 몫을 가져오는 연산자

print(result) #3

 

2. # sequence

 

특징

 

list

 

1. 임의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집합 자료형

2.index를 이용해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어요! (데이터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숫자로 표현)

3.index는 0부터 시작해요!(메모리 연산 때문)

 

list의 literal(코드 상의 표현) 표현 : [] (대괄호를 사용한다)

a = [] #(empty list)

a = list() #빈 리스트를 만들어요! 위 두 개는 같은 표현!! 하지만 위보단 a= list() 리스트 함수를 더 많이 사용

 

a = [1, 2, 3] # 순서를 나타낼 때,를 쓴다. 띄어쓰기는 상관없고,로 구분만 하면 됨 (가독성 때문)

단, 코딩의 관용적인 규칙 때문에 띄어쓰기 많이 함

 

a = [1, 3.14, '홍길동', True] #앞에 나오는 것처럼 정수 플로트 블룸 등 같은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 또한 리스트는 차원의 개념이 없다(중첩 리스트)

 

a = [1, 3.14, ['Hello'], 100]

 

print(a) #a는 계속 바뀌고 마지막 최종 값 [1, 3.14 ['Hello']. 100] 표출

 

print(a[0]) #여기서 []는 리스트가 아닌 몇 번째 인지 인덱스를 사용하기 위한 기호 1호출

print(a[3]) #100

a[3] = 200

a = [1, 3.14, ['Hello', 5], 200]

print(a[-2) #여기서 -2는 역으로(끝에서부터) 단 끝이 -1이에요.

그러니까 위에 100부터 -1 -2 -3 -4 (-4가 1 이 돼요) ['Hello', 5] 호출

print(a[-2][1]) #5

여기까지를 인덱싱 기법(indexing) 이라고 합니다.

 

slicing

 

원 자료 구조에서 부분 자료 구조를 띄어냅니다. 그래서 슬라이싱의 결과를 원래 데이터 타입과 동일해요

(리스트는 리스트, 튜플은 튜플)

 

print(a) [1, 3.14, ['Hello', 5], 200]

 

print(a[0:2]) # 0부터 2까지 (앞은 inclusive 뒤는 exclusive) 앞은 포함, 뒤는 불포함

여기서는 0:2 니까 0에서 1번째 까지만 표출돼요. [1, 3.14]

 

print(a[0:1]) 하나만 가져오기 때문에 [1]이 표출돼요

print(a[2:]) 2뒤로 끝에있는 데이터 까지 표출돼요 [['Hello', 5], 200]]

print(a[:3]) 앞에서 부터 2번째 데이터 까지 표출 돼요 [1, 3.14, ['Hello', 5]]

print(a[:])처음부터 끝까지 원본 데이터 표출 돼요 [1, 3.14, ['Hello', 5], 200]

 

LIST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630 Text Sequence Data Type  (0) 2021.06.30
0630 python Tuple  (0) 2021.06.30
0630 list  (0) 2021.06.30
0629 파이썬 특징과 ANACONDA 설치 및 설정  (0) 2021.06.29
0628 AI 융복합 프로젝트 수업 시작 !!  (0) 2021.06.29

댓글